그린채널

Green Media

길거리에서도 만나는 NFT 아트
작성일: 2022.06.21
조회수: 15258

 

 

길거리에서도 누구나 쉽게 NFT 아트를 만날 수 있는 전시가 열리고 있다. 메타 스페이스 미음에서 박지나 작가의 NFT 기반의 디지털 아트를 선보이는 NFT 전시가 열리고 있는 것.

 

메타 스페이스 ㅁ(미음)은 프로젝트 스페이스 미음에서 누구나 쉽고 친근하게 NFT 아트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든 NFT 전시 공간이다. ‘메타’와 ‘스페이스 미음’을 합쳐 메타 스페이스 미음으로 이름을 짓고 윈도우 갤러리를 활용해 Fine Art NETs 전용 플랫폼을 만들었다. 

 

NFT 아트가 최근 큰 관심을 끌고 있지만 거래 플랫폼에서만 만나볼 수 있다는 한계에서 벗어나 NFT 작품을 윈도우 전시공간에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still image

 

 

이곳에서 선보이는 박지나 작가의 전시는 ‘The Moon Palace’로, 전시에서는 동서양 전통회화의 만남이 NFT로 재탄생한 작품들을 볼 수 있다. 

 

박지나 작가는 한국에서 전통회화를 공부하고 독일 베를린에서 유학 후 현지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가로, 두터운 시간성이 고스란히 담긴 견고한 작업과정을 거치는 에그템페라로 새로운 세상을 만들어낸다. 

 

유화 이전 시대를 대표하는 회화기법인 에그템페라의 대표적인 예는 산드로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 La nascita di Venere, 1485>으로, 테라핀 용액에 달걀과 물감 가루를 섞어 재료를 만들고 석고와 아교를 혼합해 캔버스에 애벌 처리를 한 후 그 위에 화구층을 만들어가며 색을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진다. 

 

 

 

still image

 

 

이번 전시에서는 중세에서 현재로 나온 에그템페라 그림이 3D 영상기법을 통해 펼쳐진다. 독일에서 그려낸 작가의 내밀한 컬렉션들로, 전시작들은 박지나 작가와 젊은 창작자들의 협업으로 완성됐다. 

 

서양회화 방식과 한국 전통회화 기법이 한데 어우러져 독특한 작가만의 세계로 완성된 작품은 살아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동식물원과 박물관에 채집, 박제돼 있던 새가 눈앞으로 날아들고, 천둥번개가 요란한 어느 곳 어느 날 밤엔 검은 표범이 울며 새가 인공 태양을 쪼아댄다. 

 

 

 

still image

 

 

현실 세계를 가상세계로 이끄는 3D 영상 기법에 더해진 창작 음악은 중세에 유행했던 표현기법에 더해진 현대적 감성으로 관람객의 상상력을 확장시키고, 생동감 있게 살아나는 정적인 그림은 액자 속이 아닌 고해상도 모니터에서 움직이며 관람객에게 말을 건다. 

 

박지나 작가의 NFT 전시는 부산 벡스코(아트부산 아트페어)에서 동시에 진행되며, 메타스페이스 미음 플랫폼에서는 작가의 NFT 기반 작품들이 거래된다. 

 

박지나 작가의 NFT 전시는 6월 26일까지 이어진다. 

 

 

 

에디터_ 최유진([email protected])
사진제공_프로젝트 스페이스 미음

 

 

목 록

빠른상담

이름

지점선택

연락처

- -

이메일

@

상담내용

2023 강남(본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신도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노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인천(부평)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4 인천(청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수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의정부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청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대전(둔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대전(중앙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울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부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역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종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신촌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부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안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안양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성남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전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대구(동성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대구(교보타워)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
IT· 디자인 교육 부문 1위

사랑나눔 사회공헌 대상
교육사회공헌 부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상

대한민국 교육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대상

사랑나눔 사회공헌 대상
전문인력육성 부문 고용노동부장관상

고객신뢰도 1위 프리미엄 브랜드
디자인·IT 취업교육 부문 대상

국가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최우수 브랜드

한국의 가장 사랑받는 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대상

소비자추천 1위 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1위

대한민국브랜드평가 1위
디자인·IT 교육 브랜드 1위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강남(본점)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역삼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신촌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신도림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노원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성남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역삼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신촌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신도림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부천

훈련 이수자 평가
회계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성남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노원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부천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