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채널

Green Media

시계가 아닌 시간을 보는 방법
작성일: 2022.09.06
조회수: 16199

 

 

시계는 왜 모두 동그랗고 납작할까. 이러한 질문에서 시작된 디자인 스튜디오가 있다. 시계가 아닌 ‘시간을 보는 방법’을 디자인하는 스튜디오 웬(when)이다. 

스튜디오 웬을 만든 김원영, 배민경 디자이너는 문득 틀에 갇힌 시계의 디자인에 의문을 갖고 좀 다른 시계를 만들어 보기로 했다. 지금까진 없던 시계, 세상에 없던 디자인을 통해 시계뿐 아니라 시간을 대하는 방법에 대해 새롭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했다. 

 

그렇게 그들은 입체적인 형태, 오브제를 닮은 시계를 디자인했고, 하나의 조형물이자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시계를 만들어냈다. 

 

시계라는 매체에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고 실험을 하는 웬의 디자인 이야기를 들어본다. 

 

스튜디오 웬의 공동대표 김원영, 배민경 디자이너

 

 

when에 대해 소개해주세요.


저희는 ‘시간을 보는 방법’을 디자인하는 스튜디오 웬의 김원영, 배민경입니다. 인터랙션 디자인을 전공한 동기 둘이서 창업하여 어느덧 3년차에 접어들었어요. 졸업 학년에 제주로 디자인 워크숍을 갔는데, 같은 방을 쓰며 동그랗고 납작하기만 해서 지루한 시계가 세상을 점령한 것에 대해 토론했던 기억이 나요. 그 후 졸업하자마자 “세상에 없는 시계를 만들어보자!”고 선언하며 스튜디오 웬을 시작하게 됐어요. 

 

어떤 디자인을 선보이시나요?


기존의 시계가 가진 눈금, 숫자, 납작한 시계판과 같은 관용적 요소들로부터 벗어나고자 시계 디자인이 아닌 ‘시간을 보는 방법’을 디자인합니다. 납작한 시계판을 원뿔 모양으로 세워 어느 곳에서든 시간을 볼 수 있는 고스트 클락, 입체적인 시계침들이 유유히 회전하여 조형을 달리함으로써 시간의 흐름을 느낄 수 있는 오만 시계 등 시간에 관해 제각기 다른 스토리를 가진 시계를 디자인하고 있어요. 

 

시계를 디자인하기 위해 어떤 실험들을 하시나요?


오만 시계의 경우 시중에 개발된 무브먼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작은 톱니들이 토크를 견딜 수 있도록 무게 중심을 맞추고, 후가공 재료를 선별하는 등 다양한 실험을 진행하고 있어요. 각 제품 별로 고유한 디자인을 가진 오만 시계들이 시계로써 온전히 기능할 수 있도록 제조 실험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고스트 클락

 

 

시간에 대한 의미를 지니는 스토리텔링을 하시는데요.


시계를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두 가지 관점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는데요, 첫 번째는 눈에 보이지 않는 시간의 성질에 대한 고찰입니다. ‘고스트 클락’의 경우 보거나 만질 수 없는 시간 위로 고운 천을 드리워 시간을 가시화한 작업이에요. 마치 유령이 천을 뒤집어 쓴 듯하여 ‘고스트 클락’이라는 이름을 붙이게 되었습니다. 일반적인 시계와 달리 눈금이 없는 고스트 클락은 열 두 개의 물결 위로 드리우는 부드러운 명암 대비로 시간을 볼 수 있어요. 

 

두 번째 관점은 동력을 품은 시계라는 매체 그 자체입니다. 최근에는 하반기에 참가 예정인 해외 전시들(Maison&Objet, France / Vienna Design Week, Austria / Dutch Design Week, Netherlands)을 준비하면서, 새로운 오만 시계 시리즈인 ‘무브먼트를 위한 집(The House For Movements)’을 작업하고 있어요. ‘만약 시계라는 집 안에 무브먼트가 살고 있다면?’이라는 상상으로부터 출발해서 시분침이 거주하는 건축적인 조형, 서로에게 꼭 들어맞는 기하학적인 조형 등 무브먼트를 위한 집들을 지어주고 있습니다. 

 

디자인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요?


시계라는 매체가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의 영역을 넓히는 거예요. 인테리어 소품 등 생활소비재로만 인식되었던 시계의 정체성을 예술품으로 확장하기도 하고, 현재 시각을 확인하는 용도를 벗어나 새로운 사용성을 탐구해보기도 하는 등 ‘타임피스 프로젝트(Timepiece Projects)’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실험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no.00024 칵테일 시계

 

no.00028 풍향계 시계

 

 

다양한 디자인 중 가장 반응이 좋았던 디자인은 무엇인가요?


오만 시계 시리즈에서 두 개의 제품을 꼽을 수 있는데요, ‘no.00024 칵테일 시계’와 ‘no.00028 풍향계 시계’입니다. 

 

칵테일 시계는 ‘2022 더프리뷰 아트페어 성수’에서 선보인 작업으로, 오만 시계 작업 중 최초로 초침을 도입한 시계예요. 칵테일 잔의 모습을 한 몸체 옆으로 거대한 반쪽짜리 클로버 형태의 초침이 아슬아슬하게 지나갑니다. 잔 안에 담긴 체리를 연상시키는 시침과 어우러져 전시 현장에서 반응이 좋았던 것 같아요. 

 

풍향계 시계는 다른 오만 시계와 달리 초침으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인센스 스틱을 중앙의 파이프에 끼우면 비로소 팔방위의 조형을 완성하는 인센스 홀더 시계입니다. 초침의 인센스 스틱에 불을 붙이면 피어오르는 연기가 시간의 흐름을 가시화하며 흩어집니다. 오만 시계는 하나의 디자인 당 한 개만 제작하는 것을 원칙으로 작업해왔는데, 색상 별로 출시해달라는 요청을 받고 마음이 흔들렸습니다(웃음).

 

오만 시계 프로젝트

 

 

오만 시계 프로젝트에 대해 소개해주세요. 


‘오만 시계 프로젝트(50000 clock projects)’는 말그대로 ‘세상에 없는 오만 가지 시계를 오만 개 만들어보자!’는 농담에서 출발한 프로젝트입니다. ‘시계’를 ‘시간을 담는 매체’로 재정의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시계들이 수작업으로 제작되고 있어요. 눈금과 숫자를 표기하지 않거나 초침만 존재하는 등 기존의 시간 표기 방식을 따르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자신만의 시간 기준점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2021년 가을에 가로수길에서 팝업 스토어를 운영했는데, 아이들과 방문하셨던 한 고객께서 “아이들은 못 읽고 나만 읽을 수 있는 시계를 찾고 있었어요.”라는 말씀과 함께 제품의 스토리에 애정을 가지고 구입하셨던 게 기억에 남네요.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지금까지는 스튜디오 웬에서 먼저 시간을 보는 방법을 제안해왔는데요, 하반기 유럽의 전시에서는 새롭게 구축한 ‘오더메이드(order made)’ 시스템을 선보일 계획이에요. “저에게 시간의 의미는 이러한데요, 제 이야기를 시계로 만들어주세요.” 또는 “이런 이상한 시계를 만들어 보시는 건 어떤가요?” 등의 이야기를 수집해, 각자의 시간관에 대한 다양한 스토리를 디자인으로 풀어나가고자 합니다. 

 

에디터_ 최유진([email protected]) 

사진제공_ 스튜디오 웬 

목 록

빠른상담

이름

지점선택

연락처

- -

이메일

@

상담내용

2023 강남(본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신도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노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인천(부평)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4 인천(청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수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의정부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청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대전(둔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대전(중앙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울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부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역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종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신촌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부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안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안양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성남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전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대구(동성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대구(교보타워)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
IT· 디자인 교육 부문 1위

사랑나눔 사회공헌 대상
교육사회공헌 부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상

대한민국 교육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대상

사랑나눔 사회공헌 대상
전문인력육성 부문 고용노동부장관상

고객신뢰도 1위 프리미엄 브랜드
디자인·IT 취업교육 부문 대상

국가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최우수 브랜드

한국의 가장 사랑받는 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대상

소비자추천 1위 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1위

대한민국브랜드평가 1위
디자인·IT 교육 브랜드 1위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강남(본점)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역삼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신촌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신도림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노원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성남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역삼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신촌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신도림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부천

훈련 이수자 평가
회계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성남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노원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부천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